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로그인
학사안내 상단 배경 이미지

학사안내

교과목 소개

교과목

에너지변환이론 및 실습 (Energy Change New Material Theory and Lab)

에너지 변환이론 및 실습은 전기에너지 발전 분야에 대한 에너지 변환 과정을 구조와 함께 이해하고, 에너지변환부의 인버터, 에너지변환시스템의 컨버터, 계통연계 보호장치 변환부 등 발전분야에 대한 실전 기술을 실습과정을 통해 파악해 나가는 교육과정이다. 전기, 기계, 화학, Bio 등 다양한 에너지를 수요자가 하는 형태의 에너지로 상호 변환 하는 기술, 이들 각각의 에너지를 다양한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 그리고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수요자에게 전달하는 기술 등을 습득한다.

전기자기학 (Electromagnetism)

전기자기학은 전기자기적인 현상을 학문적으로 정리하고 체계화한 물리학의 한 분야로 전기공학의 중요한 기초학문이다. 이런 전기의 기초 학문을 학습함으로써 전기와 자기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는데 목표가 있다. 또한 전기자기학을 학습함으로써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에 대비할 수 있다. 전기자기학의 수학적 언어가 되는 벡터의 해석법을 익히고, 정전기학의 기본이 되는 쿨롱의 법칙과 전기장, 전속밀도와 가우스 법칙, 전기적 위치에너지에 대해서 핵심적으로 배운다. 그리고 도체와 유전체의 내용을 학습하고 전기 용량의 개념을 익힌다.

전기기기 (Electrical equipment)

전기기기는 기기 및 기계의 구조 및 동작원리와 특성을 이해하는 과목으로 직류발전기, 직류전동기, 교류발전기, 교류전동기, 변압기, 동기기기 등이 있다. 이러한 전기기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전기전자기초실습 (Electrical & Electric Basic Lab)

전기전자공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내용을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학습함으로써 아날로그전자분야의 기틀을 마련하며, 실습 과정에서 각종 계측기 사용방법을 익힌다. 또한 전기전자 기초이론 및 응용을 기반으로 전기 기초지식을 익히고, 전자기 재료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기본 특성을 이해한다. 각종 계측장비들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테브난등가회로, 중첩의 원리 등 회로이론을 기초한 실험을 하며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다이오드 등에 대하여 특성을 실험한다.

컴퓨터활용 (Computer Practical Operation)

산·학·연에서 다루는 재정 및 회계업무, 생산, 정보 등을 다루기 위해 가장 많이 쓰이고있는 스프레드시트(엑셀)의 고급 사용법을 배운다. 기초적인 사용법을 기반으로 다양하고 심화 응용 예제를 실습함으로써 컴퓨터 활용 능력을 높이고, 실전에서 빈번하게 사용될 기능 및 프로그램들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태양광발전시스템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태양광을 활용하여 환경친화적인 에너지공급을 위한 재생 가능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기술로서 태양전지(solar cell)로 구성된 모듈(module)과 축전지 및 전력변환장치 등의 교육 내용을 다룬다. 태양빛이 조사될 때 생성되는 직류전기의 원리와 생산된 직류전기를 인버터로 이동하여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세부 내용 등 개폐기,축전지,출력조절기,계측기,설치가대 등 주변기기와 아울러 시공, 유지관리하는 시스템 전반에 걸쳐 교육 내용을 습득한다.

회로이론 (Circuit theory)

전기산업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자격시험과목 중 하나이며 전기설비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서 저항·전류·전압 회로를 비롯하여 R-L-C회로의 이론에 대하여 기초 회로지식을 습득하며, 회로 변환방법의 이해 및 활용법을 배운다.

CAD기초 및 실습 (Basic CAD Practice)

전기회로 설계 및 전기설비 설계를 위한 CAD 사용법을 익힌다. CAD의 다양한 기능 중 전기설계분야에서 사용하는 기능들을 위주로 실습하고, 실제 전기설비업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습 예제들을 중심으로 현장적응 능력을 배양한다.

대체에너지공학 (alternative energy application engineering )

대체에너지 전반 분야에 대한 발전원리를 이해하는데 있으며,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태양에너지, 풍차에너지, 지열에너지, 해양 하천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일반 폐기물에너지, 산업 폐기물에너지, 연료전지 열병합발전과 분산발전 등의 에너지 신기술의 이해하며, 이를 기반으로 무공해 전기자동차 응용 등 전반적인 대체에너지의 특성을 이해하는 교육과정이다.

프로그래밍실습1 (programming practiceⅠ)

본 교과목은 전기 및 전자 공학 전공자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능력을 C#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함양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학습을 통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기초를 시작으로 .NET 프레임워크를 설계할 수 객체 지향 언어를 최대한 일반화해서 다루기 때문에 다른 객체 지향 언어를 공부할 때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직관적인 문법으로 웹, 게임, IOT, 개발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한다.

디지털공학(Digital engineering)

디지털 공학은 디지털 전자회로를 다루는 분야이며, 디지털 컴퓨터, 데이터 통신, 디지털 기록, 디지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는데 응용되고 있다. 디지털 시스템에서 정보를 나타내기에 적당한 여러가지 2진수계를 습득하고, Boole 대수의 원리를 이해한다. 조합회로의 해석과 설계에 대한 내용을 습득하며, 클럭에 동기화된 순차회로의 해석과 설계를 익힌다. RAM과 프로그램화된 논리소자를 다루며, 비동기식 순차회로에 대해서도 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보편적인 IC디지털 논리군도 소개한다.

전기회로실습 (Electric & Electronic Circuits Lab)

국가기술자격 시험인 전기산업기사 및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시험, 실기시험과 관련됨은 물론 각종 전기 현상의 원리와 타 교과 학습에 기초 이론이 되는 과목으로 전기, 전자, 정보통신, 전파공학 등 각 분야를 학습하는 학생들에게 가장 기본이 되는 필수 과목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회로 해석 능력을 키우고, 측정 능력을 키울수 있도록 한다.

전력공학 (Power engineering)

전력공학은 회로이론의 기본적인 개념을 많이 사용하는 교과목으로서 전압강하, 전력손실 등은 회로이론에서 공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를 송전선로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송전선로의 개념을 이해하고 전기적인 특성을 계산할 수 있도록 능력을 기른다.

기초전기수학(Basic Electical Mathematics)

본 교과는 수학의 기초 지식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하여 다른 교재를 참고하지 않고도 수학의 기초부터 응용뿐만 아니라 전공과목의 이해의 폭을 쉽게 넓힐 수 있는 교과목이다. 수준별 교육을 위해 수학의 입문을 위한 기초 및 전기전자통신공학도를 위한 기초수학에 대한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육과정상 학기 및 시수에 따라 전공분야별로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여 강의를 진행해도 불편함이 없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스마트그리드공학 (Smart Grid)

이 교과는 송전설비 고장 예방 및 진단과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효율적인 설비운영을 위한 송전감시 시스템 구축, 운용, TGIS 설치, 운용 및 지능형전력망(Smart Power Grid)에 대한 이론 및 원리를 교육한다.

시퀀스기초실습 (Sequence Basic Practice)

이 교과는 자동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을 분석하여 자동제어시스템 유지정비 업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능력이다. 유접점회로, 무접점회로, 부울대수 및 논리식 간략화, 전동기 제어 및 설비제어회로 등을 다룬다.

전기설비기술기준 (Electric Systems Technics)

한국전기설비규정(KEC) 법을 공부하는 과목으로 이격거리, 전선의 굵기, 높이 등을 배운다.

전기응용 (Electric Application)

전기관련 국가기술자격 시험의 실기시험 및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시험과 관련되는 과목으로 전기를 이용한 각종 산업분야의 응용 기술을 다룬다. 전기를 이용한 대표적인 응용 분야인 빛(조명), 열(전열), 동력(전동기) 분야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를 배워 실제 사용 및 설계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한다.

전기기기실습 (Electrical equipment practice)

산업현장에서 활용되는 변압기, 동기기, 유도기, 직류기 및 전력 변환기 등의 전기 기기를 운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전기기기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실습한다.

전기자동차 (Electric Vehicle)

최근 세계적인 친환경 자동차 개발 및 보급 확대 정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개요와 구조 및 기능, 관련된 전기∙전자∙통신 분야 기초 기술의 이해와 전기자동차 관련 기술과 전기에너지의 효율적 운용 및 관리 방안의 종합적 교육 실시와 또한, 전기자동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의 이해와 대응 방안 및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에 따른 효율적 에너지 활용방안 등을 학습한다.

프로그래밍실습2 (programming practiceⅡ)

본 교과목은 이론과 실습을 함께 구성한 프로그래밍 언어로써 파이썬을 더 효율적이고 능숙하게 다루는 방법을 숙지한다. 실무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깊이 탐구하고, 꼭 필요한 내용만 학습하여 취업 후 현장에서도 응용 가능하도록 파이썬의 핵심 기능과 라이브러리를 상세히 안내하며, 더 짧고 빠르며 읽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프로젝트LAB Ⅰ, Ⅱ (Project Lab)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풍력발전에 대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제품을 설계 제작하고 실험을 통하여 특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PLC제어실습 (PLC Control Practice)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장비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대한 구조 및 동작방법, 프로그램 언어 등을 학습한다. 자동저장창고, PTP, Robot 동작에 PLC를 응용하여 자동화에 대한 개념을 익히고, PC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PLC 자체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실습 한다. 실습은 모듈을 이용하여 진행되며, 모듈 구성은 입력 제어 비트, 출력 시뮬레이터, 스텝핑 모터를 이용한 위치제어, A/D 변환기, 온도 센서 활용법을 익힌다.

창업전기실무 (electric entrepreneurship practicum)

전기안전관리분야 창업을 위해 전기안전관리의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전기재해 예방에 대한 기술을 이해하고 전기 에너지로 인한 전기 재해의 위험성을 분석 도출하기 위해 전기 설비의 안전을 위한 제반 법규와 시설의 관리 기준 등을 숙지함으로써 일상 생활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기 설비의 운용 능력과 관리 기술을 함양하고 창업의 실무 지식을 기른다.

송배전계통공학(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engineering)

◈ 송배전계통공학(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engineering) 일반 에너지원을 전기에너지를 변환하여 생성된 전력에너지를 전력소비자로 운반하는 송전기술과 송전된 전력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역에 분배하는 배전 전력계통을 다루는 교육과정이며, 전력의 불규칙한 에너지 출력을 조절하여 안정한 전력공급하는 기술 및 효율성, 손실 최소화 등 전력 계통의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는 내용을 다룬다.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의 원리, 선로정수 및 송전특성, 송전선의 고장계산과 중성점 접지 기술, 배전방식 및 역률 기술, 배전선로의 운용과 보호 기술 등을 익힌다.

옥내및동력배선실습 (Commercial & Industrual Wiring Lad)

전선, 케이블 등을 보호하기 위해 전선관, 레이스웨이, 케이블 트레이, 버스 덕트와 박스, 기타 부속품을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하고, 조명 설비, 동력 설비 등 전기 에너지가 필요한 장소에서 전선, 케이블을 적합하고 안전하게 공사하였는지 검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전기공학관련 이론 및 실습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실제로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 학기 과정을 통해 작품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전시와 발표 등을 통해 종합적 설계 및 제작 능력을 배양하고 문제해결능력과 협업능력을 함양하로록 한다.

전기안전공학(Electrical safety engineering)

전기설비가 요구되는 산업현장을 이해하고, 전기사고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기설비에 대한 안전점검에 대해 이해하고, 정전기 발생방지 계획을 수립하고 위험요소를 파악하여 정전기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전기 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화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방재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전기 화재 위험 요소를 파악하여 대응하는 능력을 교육한다.

수변전설비실습(Water substation equipment practice)

전기설비설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설비로 수전점에서 전력을 수전하여 변전설비에서 적당한 전압으로 변성하여 배전반까지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 기술을 교육한다. 수변전설비에서는 수·변전설비의 계획, 수·변전기기의 선정방법, 계기용변성기 기술, 용량 계산하기 등을 다루며, 수변전회로 보호회로 및 변압기 보호기술 등의 습득, 전력용 콘덴서 보호 및 전동기 보호기술 등을 교육하고, 예비전원 설비설계에서는 발전기, 축전지, 무정전전원 장치, 전기저장 장치 등으로 구성의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는 내용을 습득한다.

로딩중